가스크로마토그라피
보유지역
울산본부(울산)
-
장비설명
휘발성 시료를 구성한 물질이 얼마나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사용되는 보편화된 장비로 단일화합물이 컬럼을 빠져나온 시간과 검출기 감응에 대한 면적을 통해 정성 정량 분석이 가능한 장치
UST-KITECH School
융합제조시스템공학전공 청정공정/에너지시스템공학
청정공정ㆍ에너지시스템공학은 지속가능한 산업 발전이 가능하도록 산업구조를 저탄소 경제구조로 전환시키는데 필수적인 청정 재료, 공정 및 고효율 에너지 기술에 관해 학습합니다.
화학 산업에 있어 오염물질 발생 최소화, 환경친화적 원료 및 제품 생산, 자원 재이용기술과 에너지 산업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에너지 플랜트 스마트화, 미활용(바이오매스, 저급 연료, 폐기물 등) 자원을 이용한 고효율 에너지 생산기술 및 열유체기기 고효율화 설계 기술 등 녹색기술(Green Technology)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강의목표
본 과목은 연소공학에 대한 개론으로 기체 연료의 연소를 중심으로 연소시 발생하는 물리 화학적 현상에 대한 공학적인 접근에 대해 다룬다. 이와함께 고체 및 액체 연료의 청정 이용을 위한 연소공학적 접근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강의목표
본교과는 분석방법을 통해서 실리케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소재와 응용방법을 이해하는 데 목표가 있다.
강의목표
이 과정은 다양한 공학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해 최적화 단계를 처리한다. 실험 계획법 다양한 유통 모델 단일 및 다목적 수치 최적화 및 내부 코드를 사용하는 실용적인 엔지니어링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강의목표
본 교과는 열화학적 전환(연소, 열분해, 가스화)이 포함된 열에너지 및 발전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과 관련 지식을 소개하며, 이를 통해 전공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한다.
강의목표
본 교과는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이산화탄소를 촉매에 의해 전환하는 기술에 대한 기초 및 심화지식을 소개하며, 다양한 균일촉매 및 비균일촉매 시스템의 구조 및 반응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의목표
본 강의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저급연료의 에너지화 방법 중 열화학적 전환을 통한 에너지 전환 기술에 대해 공부한다. 석탄, 바이오매스, 폐기물 등 연료의 성상 및 환경 문제로 인해 이용에 제약이 있는 저급 연료를 대상으로 열분해/가스화/연소 등을 통해 에너지화 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공부한다.
강의목표
열전달 및 유동해석을 위한 수치해석의 종류와 특징 및 기본이론, 대류항 차분기법, 난류모델링 등에 대하여 다루고, 상용코드를 이용하여 실제 적용분야에 대하여 실습한다. 또한 전산유체역학과 실험계획법을 접목하여 해석을 이용한 최적화 설계기법에 대하여 다룬다.
강의목표
본교과는 청정공정 및 시스템공학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과 관련 지식을 소개하며, 이를 통해 전공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한다.
강의목표
펌프 압축기 터빈 등을 포함한 다양한 터보유체기계에 대해 소개한다. 터보기계의 종류와 특징 및 기본설계와 성능에 대해 다룬다. 터보유체기계의 설계와 성능에 대한 물리적인 이론을 배운다. 또한 펌프 및 압축기의 설계방법에 대한 실습을 포함한다.
강의목표
본 교과는 청정기술 중 재생가능 바이오매스 및 유기성폐기물 유래 바이오에너지의 생산 전반에 대한 개론적 이해도를 제고한다. 강의에서는 개요 및 술어 정의, 바이오매스 및 유기성폐기물 원료가공, 바이오연료 및 바이오에너지 자원화, 생물학적 바이오가스 생산, 열화학적 바이오가스 생산, 바이오수소 생산 및 이용, 생물학적 바이오에탄올 생산, 바이오디젤 전환, 바이오에너지 열병합 생산, 바이오화학 소재 및 연료 동시 생산, 재생에너지 믹스 포트폴리오, RDF 및 RPF 고형연료, 폐(바이오)플라스틱 재자원화, 바이오에너지 순환망 및 지속가능성, 바이오 선박유 및 항공유 등을 다루게 된다.
강의목표
본 교과는 청정기술 중 재생가능 천연자원 유래 바이오화학소재의 생산 전반에 대한 개론적 이해도를 제고한다. 강의에서는 개요 및 술어 정의, 바이오매스 원료가공, 당 기반 출발물질, 유기산 전환기술, 유도체 전환기술, 생물학적 전환공정, 열화학적전환공정, 분리정제기술, 전주기적 녹색순환, 바이오 정밀화학소재생산, 바이오연료생산, 플랫폼 화학소재 및 단량체 생산, 바이오플라스틱 합성, 생 분해성 플라스틱, 내구성 바이오플라스틱 등을 다루게 된다.
강의목표
본 교과는 다양한 형태의 고분자 합성 기술 고분자의 응용분야 고분자의 물리적 구조와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보유지역
울산본부(울산)
장비설명
휘발성 시료를 구성한 물질이 얼마나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사용되는 보편화된 장비로 단일화합물이 컬럼을 빠져나온 시간과 검출기 감응에 대한 면적을 통해 정성 정량 분석이 가능한 장치
비표면적 측정기
보유지역
울산본부(울산)
장비설명
Powder Pellet Core 등의 형태를 가지는 시료를 전처리 공정을 통해 불순물 및 유해 가스를 제거한 후 질소 등의 가스를 주입하여 화학적 흡탈착 현상으로부터 Meso/Micro porous 영역의 다공성 물질의 Specific Surface Area Pore Size Pore Volume 등을 측정하는 장비
다중가스검출기
보유지역
청정기술연구소(천안)
장비설명
만능재료시험기
보유지역
청정기술연구소(천안)
장비설명
각종재료의 인장강도시험이 가능하며 별도의 지그를 사용한 기타 시험도 가능한 만능시험기. AC Servo Motor 에 의한 정밀한 시험속도의 제어가 속도스위치 및 CPU system 으로 간단히 변환되며 고정도의 로드셀에 의해 시료에 가해지는 하중을 정밀하게 되는 Interface board 를 통하여 CPU System에서 수집, 분석된다. 또한 시료의 신장량의 측정을 Rotary Encorder 로서 측정하여 이 또한 디지탈로 표시함으로서 일반적인 인장강도시험을 정밀하고 간단하게 시험할 수 있게 한다.
초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보유지역
청정기술연구소(천안)
장비설명
X-선회절분석기
보유지역
청정기술연구소(천안)
장비설명
재료의 결정면에 X-선을 주사하여 일어나는 회절현상을 이용하여 물질의 결정구조를 분석하는 장비. XRD는 회절된 X-ray 감도들에 의해서 변화들이 시료의 회절각에 의해서 회절되고, 기록되며, 측정되어진다. 이 결과로 시료의 X-ray 회절 패턴을 알 수 있다. 피크 위치와 감도들은 컴퓨터 분석을 통하여 정성분석과 격자 상수 결정 그리고 시료의 stress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피크의 각도와 윤곽들은 입자사이즈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결정화도를 결정하는데도 이용된다.
고분자 합성용 반응기
보유지역
청정기술연구소(천안)
장비설명
이산화탄소 기반 플랫폼 화합물 제조기술 관련 고분자 제조를 위해 필요한 반응기 시스템. 화합물을 합성할 때 반응조건을 조절하기 위해 교반속도, 온도 등을 조절한다.
고분자 점탄성 열분석기
보유지역
청정기술연구소(천안)
장비설명
천연재생자원인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열/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소재/부품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바이오고분자 소재의 상용화 생산공정의 개발을 위한 실험에 있어, 개발된 고분자 소재의 점탄성 분석을 통한 고분자의 물리화학적 구조 및 기계적 성질을 측정/분석하는 장비
고온 GPC (Gel permation chloromatography)
보유지역
청정기술연구소(천안)
장비설명
시차주사 열량계
보유지역
청정기술연구소(천안)
장비설명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